D2Coding
https://github.com/naver/d2codingfont
네이버에서 만든 D2코딩입니다.
D2 Coding 글꼴은 나눔바른고딕을 바탕으로 개발자의 코딩을 위해 가독성 및 유사 문자간 변별력 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으로 한글과의 조화를 고려해 최적화시킨 글꼴입니다. D2 Coding 글꼴은 코딩시 유사한 형태의 영문/숫자 뿐만 아니라 한글/특수문자 등에 대한 변별력과 가독성을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고정폭 글꼴로 제작이 되어 어떤 개발환경에서도 자간과 행간을 유지하도록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D2 코딩 글꼴은 ligatures 지원도 되는 폰트입니다.
네이버 나눔고딕 코딩
https://github.com/naver/nanumfont
나눔고딕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고정폭 글꼴입니다.
현재는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D2 Coding으로 대체되었습니다.
나눔고딕코딩체는 지난 2008년 10월 9일 발표된 나눔고딕을 바탕으로 개발자들의 코딩 환경에 최적화시킨 글꼴입니다. 개발자들이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소스코드 편집이라는 과정을 대부분 필수적으로 거치는데 여기서는 단 한글자만 틀리더라도 프로그램이 완전히 다르게 동작하거나, 심지어는 오류를 내는 경우도 비일비재하지요. 대부분은 프로그램 자체가 잘못 작성되어서이지만, 소스 코드 편집 화면상 눈으로 쉽게 구별되지 않는 문자들 때문에도 많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알파벳 대문자 아이(I)와 알파벳 소문자 엘(l)과 숫자 1은 글꼴에 따라서 모두 비슷비슷하게 보이는 경우가 많은데 이 나눔고딕코딩체에서는 이렇게 혼동될 수 있는 문자들을 모두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여 개발자들의 혼동을 최소화하였습니다. 또한 개발자들이 이용하는 각종 편집기 프로그램이나 터미널용 프로그램에서 글꼴을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글꼴에 포함된 글자들의 폭이 모두 일정한 고정폭 형태를 채택하였다는 점도 특징입니다.
Fixedsys Excelsior 3.00
http://www.fixedsysexcelsior.com/
비주얼스튜디오 6.0의 그것입니다.
둥근모꼴+Fixedsys
위의 Fixedsys 글꼴와 둥근모꼴을 합친 버전입니다.
90년대 PC통신에서 쓰였고, 코레일 전광판에서도 쓰이는 글꼴이다.
구하려고 찾아보니 원본 비트맵 글꼴만 있고 제대로 벡터로 변환된 건 보이지도 않고 변환 방법도 몰라서 포기하고 있다가, 인터넷에 어느 분이 제대로 변환하지 않은 웹폰트를 배포한 걸 그제야 보고 가져와서 글꼴 오류를 해결하고, 도안 위치를 16px에서 또렷이 보이게끔 옮기고 자모도 쓸 만하게 적절히 고쳐 다듬었다. 한글을 제외한 문자는 둥근모꼴과 어울리지 않아서 DOS 기본 글꼴인 Fixedsys와 붙여 서로 위화감을 줄였다.
이 글꼴은 이렇듯 고전 느낌을 내기에 적당하다.
Fixedsys Excelsior font with programming ligatures
https://github.com/kika/fixedsys
위의 Fixedsys 글꼴에 ligatures를 지원하도록 수정된 버전입니다.
Hack
https://sourcefoundry.org/hack/
Hasklig
https://github.com/i-tu/Hasklig
Ligatures를 지원합니다.
Fira Code
https://github.com/tonsky/FiraCode
마찬가지로 Ligatures를 지원합니다.
Mononoki
https://madmalik.github.io/mononoki/
프로그래밍과 코드 리뷰를 위한 글꼴이라는 소개입니다.
Consolas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details.aspx?id=17879
Consolas Font Pack for Microsoft Visual Studio 2005 or 2008 라는 이름으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중인 글꼴입니다.
'IT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andoll 삼립호빵체 (0) | 2020.11.16 |
---|---|
github를 꾸미는데 유용한 글 (0) | 2020.11.12 |
윈도우 상에서 이모지 쉽게 쓰기 (0) | 2019.01.02 |